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 프로그램 아카이브

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아카이브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본문

제목 :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일시 : 2023년 3월 1일(수) ~ 26일(일)
주최 :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후원 : 영화진흥위원회, 서울시, 서울영상위원회
티켓 : 일반 8,000원, 단체/청소년/경로/장애인 6,000원, 관객회원 5,000원
문의 : 02-741-9782
웹 : www.cinematheque.seoul.kr

프로그램 소개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3월 1일(수)부터 26일(일)까지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프랑스와 미국의 고전 코미디 영화를 만날 수 있는 이번 특별전에서는 <플레이타임>(1967), <트래픽>(1971) 등 자크 타티의 작품 10편을 포함해 찰리 채플린, 버스터 키튼, 막스 브라더스, 로렐과 하디, 해롤드 로이드, 피에르 에텍스의 작품까지 모두 27편의 영화를 상영합니다. 보통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웃음이란 렌즈로 다시 포착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비범한 영화들을 3월의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회고전의 주인공인 자크 타티(1907~1982)는 윌로 씨(Monsieur Hulot)라는 캐릭터로 잘 알려진 프랑스의 감독이자 배우입니다. 젊은 시절 운동 선수로 활약하기도 했던 그는 긴 다리와 팔을 이용한 독특한 몸의 리듬으로 자신만의 캐릭터를 창조했습니다. 이후 본격적으로 연출을 시작한 자크 타티는 기존의 누구와도 닮지 않은 촬영, 미술, 사운드 연출로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만들어냈습니다. 특히 대표작으로 꼽히는 <플레이타임>, <윌로 씨의 휴가>(1953), <트래픽> 등에서 선보인 등장인물과 세계 사이의 조화와 대립, 이미지와 사운드의 기묘한 불일치, 가속과 이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리듬으로 기존의 영화 질서를 한층 유연하고 다채롭게 만들었습니다.


이번 회고전에서는 자크 타티의 초기 단편을 포함해 마지막 작품인 <퍼레이드>(1973)와 <포르자 바스티아>(1978)까지 타티의 주요 작품을 디지털 복원판으로 모두 만나볼 수 있습니다. 시대를 앞서간 감각으로 현대 사회를 향한 번뜩이는 통찰을 선보인 자크 타티의 엉뚱하고 이상한 세계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특별히 이번 자크 타티 회고전은 서울시의 시네마테크 아카이브 사업을 통해 준비했기에 의미가 더욱 각별합니다. 이번 회고전 이후에는 전국의 시네마테크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영될 예정입니다. 


또한 자크 타티와 동시대에 활동했던 ‘윌로의 친구들’이 만든 코미디 영화들도 함께 상영합니다. 약자들의 아픔을 웃음으로 위로했던 채플린의 영화들, 눈이 휘둥그레 떠지는 버스터 키튼의 도약(<항해자>), 해롤드 로이드의 아슬아슬한 낙하(<마침내 안전>), 로렐과 하디의 낙천적 즐거움(<로렐과 하디의 외인부대>), 막스 브라더스의 정신없는 소동(<오리 수프>)과 함께 따뜻하고 즐거운 웃음의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구혼자>(1963)와 <요요>(1965)를 연출한 피에르 에텍스는 이번 특별전에서 처음으로 소개하는 작가로, 자크 타티와 더불어 무성 코미디의 영향을 받은 독보적인 프랑스의 배우이자 감독입니다. 삼십여 편의 작품에 출연하고 5편의 장편을 연출한 피에르 에텍스(1928~2016)는 고전기 코미디의 따뜻한 활기와 모던시네마의 매체적 자의식을 애수 가득한 정서 속에 함께 담아낸 작가입니다. 자크 타티와는 다른 방식으로 신체와 카메라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킨 그의 놀라운 코미디를 눈여겨봐 주시기 바랍니다. 그밖에도 피터 셀러스의 능청스러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파티>(1968)와 영무자(影武者) 윌로 씨가 출연한 앙투안 드아넬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 <부부의 거처>(1970)도 함께 상영합니다. 


코미디 장르는 피할 수 없는 불화의 상황과 그 속에서 기적처럼 찾아오는 조화의 순간을 함께 그리며 관객에게 웃음을 선사해왔습니다. 이번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을 통해 다함께 웃을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이명세 감독, 김호영 교수, 최원준 교수가 자크 타티에 관한 세 번의 시네토크를, 김성욱 프로그램디렉터가 주요 상영작에 관한 영화 소개를 준비하였으니 관객 여러분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les Films de Mon Oncle 



◆시네토크 

1) 자크 타티의 세계

일정 23년 3월 4일(토) 오후 3시 <플레이타임> 상영 후 

참석│이명세 감독


2) 조르주 페렉과 자크 타티: 공간과 장소성

일정│23년 3월 11일(토) 오후 3시 <윌로 씨의 휴가> 상영 후 

참석│김호영 교수(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


3) 자크 타티와 현대 건축 

일시│3월 16일(목) 오후 7시 <나의 아저씨> 상영 후

진행│최원준 교수(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영화 소개

진행│김성욱 프로그램디렉터 

일시│

3월 1일(수) 오후 6시 30분 <축제일>

3월 9일(목) 오후 7시 40분 <파티>

3월 11일(토) 오후 7시 <트래픽>

3월  25일(토) 오후 4시 10분 <요요>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온라인 예매 오픈 일정

― 관객회원 사전예매 오픈: 2월 21일(화) 오후 4시

― 일반 예매 오픈: 2월 24일(금) 오후 2시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상영작 목록


1 축제일 자크 타티 1947 | 프랑스 | 87min | B&W
2 윌로 씨의 휴가 자크 타티 1953 | 프랑스 | 88min | Color
3 나의 아저씨 자크 타티 1958 | 프랑스, 이탈리아 | 117min | Color
4 플레이타임 자크 타티 1967 | 프랑스, 이탈리아 | 124min | Color
5 트래픽 자크 타티 1971 | 프랑스 | 97min | Color
6 퍼레이드 자크 타티 1973 | 프랑스 | 89min | Color
7 마침내 안전 프레드 C 뉴메이어, 샘 테일러 1923 | 미국 | 67min | B&W
8 즐거운 일요일! 자크 베르 1935 | 프랑스 | 22min | B&W
9 왼쪽을 주의하라 르네 클레망 1936 | 프랑스 | 13min | B&W
10 우체부 학교 자크 타티 1946 | 프랑스 | 16min | B&W
11 포르자 바스티아 자크 타티 1978 | 프랑스 | 28min | Color
12 항해자 버스터 키튼, 도날드 크리스프 1924 | 미국 | 66min | B&W
13 오리 수프 레오 맥커리 1933 | 미국 | 69min | B&W
14 로렐과 하디의 외인부대 에드워드 서덜랜드 1939 | 미국 | 69min | B&W
15 개의 삶 찰리 채플린 1918 | 미국 | 33min | B&W
16 어깨 총 찰리 채플린 1918 | 미국 | 46min | B&W
17 순례자 찰리 채플린 1923 | 미국 | 40min | B&W
18 유한 계급 찰리 채플린 1921 | 미국 | 32min | B&W
19 봉급날 찰리 채플린 1922 | 미국 | 28min | B&W
20 하루의 행락 찰리 채플린 1919 | 미국 | 25min | B&W
21 양지 바른 쪽 찰리 채플린 1919 | 미국 | 34min | B&W
22 황금광 시대 찰리 채플린 1925/1942 | 미국 | 69min | B&W
23 서커스 찰리 채플린 1928 | 미국 | 72min | B&W
24 구혼자 피에르 에텍스 1963 | 프랑스 | 81mm | B&W
25 요요 피에르 에텍스 1965 | 프랑스 | 96mm | B&W
26 파티 블레이크 에드워즈 1968 | 미국 | 99min | Color
27 부부의 거처 프랑수아 트뤼포 1970 | 프랑스, 이탈리아 | 97min | Color


상영시간표


03.01 Wed

13:30    플레이타임   (124min)

16:30    황금광 시대   (69min)

18:30    축제일+영화소개 김성욱   (87min)

03.02 Thu

17:00    채플린단편선1   (120min)

20:00    퍼레이드   (89min)

03.03 Fri

17:00    윌로씨의 휴가   (88min)

20:00    부부의 거처   (97min)

03.04 Sat

13:00    축제일   (87min)

15:00    플레이타임+시네토크 이명세   (124min)

19:00    자크타티단편선   (78min)

03.05 Sun

13:30    서커스   (72min)

15:30    채플린단편선2   (120min)

18:30    나의 아저씨   (115min)

03.08 Wed

18:00    자크타티단편선   (78min)

20:00    트래픽   (96min)

03.09 Thu

17:30    서커스   (72min)

19:40    파티+영화소개 김성욱   (99min)

03.10 Fri

17:00    채플린단편선2   (120min)

20:00    나의 아저씨   (115min)

03.11 Sat

13:00    퍼레이드   (84min)

15:00    윌로씨의 휴가+시네토크 김호영   (114min)

19:00    트래픽+영화소개 김성욱   (96min)

03.12 Sun

13:30    부부의 거처   (97min)

16:00    채플린단편선1   (120min)

19:00    황금광 시대   (69min)

03.15 Wed

17:00    플레이타임   (124min)

20:00    항해자   (59min)

03.16 Thu

17:00    자크타티단편선   (78min)

19:00    나의 아저씨+시네토크 최원준   (115min)

03.17 Fri

17:30    로렐과 하디의 외인부대   (69min)

03.18 Sat

17:00    오리수프   (69min)

19:00    마침내 안전!   (73min)

03.19 Sun

14:00    요요   (96min)

16:30    구혼자   (81min)

18:40    파티   (99min)

03.22 Wed

17:00    퍼레이드   (89min)

03.23 Thu

17:00    축제일   (87min)

03.24 Fri

17:00    윌로씨의 휴가   (88min)

20:00    오리수프   (69min)

03.25 Sat

14:00    구혼자   (81min)

16:10    요요+영화소개 김성욱   (96min)

19:00    로렐과 하디의 외인부대   (69min)

03.26 Sun

14:30    트래픽   (96min)

17:00    항해자   (59min)

19:00    마침내 안전!   (73min)



"프레임워크" 실험영화 월례상영회 - 이시도르 이주( Isidore Isou)

2023년 3월 30일(목) 오후 7시 30분

“프레임워크”는 실험영화사의 중요한 작품들을 정기적으로 소개하는 기획입니다. 지난 해에 이어 2023년에는 전후 유럽의 실험영화를 소개하는 행사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3월과 4월에는 20세기 중반에 탄생한 문학적이고 시적인 아방가르드인 레트리즘의 두 작가, 이시도르 이…

3월 수요단편극장 "어느 날 나에게 멸망이 찾아왔다"

2023년 3월 22일(수) 오후 7시 30분

디스토피아. 유토피아의 반대말로, 억압과 통제로 모든 사람이 불행한 세상을 말합니다. 많은 문학과 영화에는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이 담겨 있는데요. 현대 사회에서 질식해 가는 인간성을 투영하여 우리가 무의식중에 받아들이고 있는 …

프랑코포니의 달 특별 영화 상영

2023년 3월 17일(금)

프랑코포니의 달 특별 영화 상영 : <마티아스와 막심>캐나다-한국 수교 60주년을 맞아 주한캐나다대사관은 “프랑코포니 주간”의 일환으로 서울아트시네마와 함께 캐나다 감독 자비에 돌란이 연출하고 주연을 맡은 <마티아스와 막심>을 특별 상영합니다. &…

<에듀케이션>, <컨버세이션> 특별 상영

2023년 3월 7일(화), 14일(화), 18일(토), 21일(화), 28일(화)

등장인물들의 대화로만 이루어진, 그러나 예상보다 더 많은 사건과 감정이 담긴 <컨버세이션>은 김덕중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영화입니다. 3월에는 <컨버세이션>과 김덕중 감독의 장편 데뷔작 <에듀케이션>(2019)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3.3 굿애프터눈 시네마테크

2023년 3월 2일(목) ~ 24일(금)

평일 낮 시간 동안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만나는 “굿애프터눈, 시네마테크” 2023년 3월 상영작은 마이크 니콜스 <졸업>(1967), 유호 쿠오스마넨 <6번 칸>(2021), 대런 아로노프스키 <더 웨일>(2022)입니다…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열람중]

2023년 3월 1일(수) ~ 26일(일)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3월 1일(수)부터 26일(일)까지 “자크 타티 회고전 - 윌로와 친구들”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프랑스와 미국의 고전 코미디 영화를 만날 수 있는 이번 특별전에서는 <플레이타임>(1967), <트래픽>(1971) 등 자…

2월 수요단편극장 "댄싱 인 더 쇼츠! 나는 슬플 때 춤을 춰"

2023년 2월 22일(수) 오후 7시 30분

댄싱 인 더 쇼츠!나는 슬플 때 춤을 춰세상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로 표현될 수 없는 것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들의 한계를 함부로 재단할 수 없습니다. 때론 말이 아닌 몸짓이 언어로서 작용합니다. 꿈, 상상, 관계, 그리고 삶은 움직이는 몸…

시네마테크 영화학교 “영화의 질문(들) Questions of Cinema”

2023년 2월 21일(화), 28일(화), 3월 7일(화), 14일(화) / 오후 7시 30분

지난 2017년, 시네마테크에서는 ‘지금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연속 강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6년의 시간이 흘렀고, 코로나 감염확산 이후 그리고 새로 변모한 환경에서 여전히 영화가 소멸의 문턱을 넘고 있다는 주장이 다시 들려오고 있습니다. 영화에 대한 질문은…

특별 강좌│빛과 어둠으로 읽는 에드워드 양의 영화 <고령가 소년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2023년 2월 20일(월) 오후 7시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와 서울아트시네마가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을 응원하고 후원합니다특별 강좌│빛과 어둠으로 읽는 에드워드 양의 영화<고령가 소년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일시│2023년 2월 20일(월) 오후 7시장소│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

2023 베니스 인 서울

2023년 2월 16일(목) ~26일(일)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베니스비엔날레, 주한이탈리아문화원과 함께 “2023 베니스 인 서울”을 2월 16일(목)부터 26일(일)까지 진행합니다. 올해로 11회를 맞는 “베니스 인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긴 역사를 지닌 국제영화제인 베니스영화제의 최신 상영작을 서울에…

2023.2 굿애프터눈 시네마테크

2023년 2월 16일(목) ~ 26일(일)

평일 낮 시간 동안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만나는 “굿애프터눈, 시네마테크” 2023년 2월 상영작은 올리비에 아사야스 <이마 베프>(1996), <데몬러버>(2002), <5월 이후>(2012)입니다.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다음 소희> 특별 상영

2023년 2월 7일(화), 14일(화), 21일(화), 28일(화)

서울아트시네마는 2월 매주 화요일,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박홍열, 황다은), <다음 소희>(정주리)를 특별 상영합니다.

The New Wave

2023년 2월 2일(목) ~ 15일(수)

프랑수아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1959), <쥴 앤 짐>(1962) 한국 정식 개봉을 맞아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2월 2일(목)부터 15일(수)까지 누벨바그의 대표작 다섯 편을 한자리에서 상영합니다.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

세계가 끝나는 감각

2023년 2월 1일(수) ~ 15일(수)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2월 1일(수)부터 15일(수)까지 “세계가 끝나는 감각”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고민하고 그려낸 <은하철도 999 극장판>, <날씨의 아이>, 그리고 에반게리온 신극장판 4부작을 상영합니다. 이 영화들은 언뜻 현실과 거리가…

1월 수요단편극장 "스릴러를 파고든 조용하고 강력한 힘 - 윤소희X이주영X김소진"

2023년 1월 18일(수) 오후 7시 30분

스릴러를 파고 든 조용하고 강력한 힘윤소희X이주영X김소진장르적 쾌락을 선사하는 스릴러 영화에서 대게 여성은 나약한 위치에서 '피해자'라는 이름으로 안타까운 결말을 맞이하곤 합니다. 하지만 여성이 주체가 되어 사건을 해결한다면 그보다 더 짜릿한 내용의 스릴러 영화는 또 …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특별 상영

2023년 1월 14일(토), 17일(화), 31일(화)

◆시네토크일시│1월 14일(토) 오후 6시 30분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상영 후참석│박홍열 감독진행│김보년 프로그래머